Lee Jae Architects

Lee Jae Architects

Bomun Uga Residence ㅣ 보문유가

    The main purpose of the design was how to view Seongbuk stream, which the client likes. Looking at the conditions of the land, it is a small land located in a corner of only 95.2 overlooking Seongbuk stream. There are already new buildings being built everywhere. However, the building is too old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not organized. We wanted to plan an exterior design that blends well with the surroundings and does not stand out too much.  

    And since the land is small, we tried to secure the area as much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irregular shape of the site, the building was designed in the form of an arrangement. In order to bring the beautiful scenery of Seongbuk stream into the interior space, we tried to plan with a small but open design.


    The building is from the first to fourth floors above the ground and has a total floor area of about 162㎡.The first floor is a neighborhood facility, and the second to fourth floors are residential spaces. The entrance was placed toward a small road so that the entry part was not exposed from the promenade. Since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is south, warm light is allowed to flow into the entrance during the day. When entering the inside, the second and third floors were designed in the same interior. However,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was different, mak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aces. On the 4th floo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restriction of the north-south diagonal line, the half-interior space, and another space were opened to the outside as rooftop garden spaces. Then, a garden was planned on the roof, and a small outdoor space was created to communicate with nature there.


    Architects: Jae Lee, Myeongho Shin, Jinwoo Park, Seojeong Park, Chaewon Baek

    Location: Seoul, South Korea

    Program: Multi-family housing

    Client: Private

    Site area: 95.20

    Building area: 56.99㎡ 

    Status: Completed in 2021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Photographer: Woosang Yang



    -----------------------------------------------------------------------




    성북천을 집안에서 바라볼 수 있는 집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성북천은 도심 속 운치 있는 산책로다. 성북동에서 시작해 동남쪽으로 흐르는 물길을 따라가다 보면 보문동이 나오는데, 건축주는 성북천의 환경에 매료되어 이곳에 모녀가 함께 모여 사는 집을 짓기로 했다. 집안에서 아름다운 하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주택 ‘보문유가’는 이렇게 탄생했다. 

    성북천이 내다보이는 대지는 코너에 위치한 면적 95.2㎡의 작은 땅이다. 인근 곳곳에 신축 건물이 들어서고 있지만, 오래된 건축물도 많아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이곳에 새로 지어질 집이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외관은 절제된 디자인으로 계획하고, 코너에 위치한 작은 대지라는 점을 고려해 가용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했다. 부정형 대지에 대응하는 동시에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공간을 확보하는 해법으로 대지 형태를 최대한 따르는 배치를 택했다. 이와 더불어 작지만 열린 디자인으로 성북천의 아름다운 풍경을 실내로 들이고자 했다. 

    건축 공간구성은 지상 1층부터 4층까지 연면적 60평정도이며 1층은 근생생활시설, 2층부터 4층까지는 주거공간으로 공간구성하였다. 현관은 산책로로부터 진입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작은 도로 쪽으로 배치하였고, 위치가 남쪽이기 때문에 낮에는 따뜻한 빛이 현관 안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내부로 진입하면 2층과 3층은 최대 면적 확보 때문에 같은 내부 형태로 만들어졌지만 가구의 배치를 달리해 차별감을 주고자 하였다. 4층은 정북사선제한의 조건에 따라 반은 내부공간 그외 공간은 옥상공간으로 외부로 향해 열려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옥상에 정원을 계획하여 자연과 교감하며 마음 트일 수 있는 작은 옥외공간을 확보하였다. 

    우리는 주거부분에 있어서는 채광이나 조망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 다가구의 특성에 따라 수평적 공간보다 수직적 공간에 치우치기 마련인데, 우리는 각 층을 외부로 향하도록 수평적인 방식으로 내부 공간을 구성하였다. 보편적으로 도심에 위치한 다가구 주택에서는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큰 창을 내지 않지만 우리는 큰 창의 이점을 따라 외부로 큰 창을 두었다. 특히 2~3층은 성북천이 보이는 곳을 중심으로 전경을 바라볼 수 있는 큰 창을 두었고 이는 사계절의 풍경을 느낄 수 있는 곳에 위치한 건축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풍경을 안으로 끌어들이고 연속적 장면을 이곳에서 누릴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주변 건축물과의 관계는 대부분 90년대초에 지어진 붉은 벽돌 빌라들이 즐비해 적막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우리는 이곳에 밝은 풍경을 바라는 마음에 밝은 회색의 화강석 외장재로 결정하였다. 주요 외부 마감재로 쓰인 화강석은 함수율이 낮은 석종을 선택하여 잔다듬 처리하여 재료의 거친 느낌과 고은 느낌이 시각적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이고자 하였다. 화강석이 가진 재료의 특성을 잘살려, 빛에 의해 돌 자체의 질감을 드러나게 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규격화한 판재 형태를 1층부터 4층까지 건물 전체에 시공하여, 통일되고 규칙적인 방식으로 좀 더 리듬감 있는 건축물로 보여지고자 하였다.

     

    보문동 성북천 주변은 낡고 오래되어 다소 어둡고 적막했던 산책로 풍경은 회색빛 화강석의 건물이 들어서며 밝은 이미지의 풍경을 만들어내길 바래본다. 또한 성북천을 찾는 많은 주민들의 일상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길 바란다. 


    프로젝트 팀: 이재, 신명호, 박진우, 박서정, 배채원

    위치: 서울

    용도: 다가구 주택

    대지면적95.20

    건축면적56.99

    연면적162.30

    과정: 2021년 준공

    사진: 양우상


     

Bomun Uga Residence ㅣ 보문유가

    21.04.28 11:28
    The main purpose of the design was how to view Seongbuk stream, which the client likes. Looking at the conditions of the land, it is a small land located in a corner of only 95.2 overlooking Seongbuk stream. There are already new buildings being built everywhere. However, the building is too old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not organized. We wanted to plan an exterior design that blends well with the surroundings and does not stand out too much.  

    And since the land is small, we tried to secure the area as much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irregular shape of the site, the building was designed in the form of an arrangement. In order to bring the beautiful scenery of Seongbuk stream into the interior space, we tried to plan with a small but open design.


    The building is from the first to fourth floors above the ground and has a total floor area of about 162㎡.The first floor is a neighborhood facility, and the second to fourth floors are residential spaces. The entrance was placed toward a small road so that the entry part was not exposed from the promenade. Since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is south, warm light is allowed to flow into the entrance during the day. When entering the inside, the second and third floors were designed in the same interior. However,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was different, mak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aces. On the 4th floo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restriction of the north-south diagonal line, the half-interior space, and another space were opened to the outside as rooftop garden spaces. Then, a garden was planned on the roof, and a small outdoor space was created to communicate with nature there.


    Architects: Jae Lee, Myeongho Shin, Jinwoo Park, Seojeong Park, Chaewon Baek

    Location: Seoul, South Korea

    Program: Multi-family housing

    Client: Private

    Site area: 95.20

    Building area: 56.99㎡ 

    Status: Completed in 2021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Photographer: Woosang Yang



    -----------------------------------------------------------------------




    성북천을 집안에서 바라볼 수 있는 집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성북천은 도심 속 운치 있는 산책로다. 성북동에서 시작해 동남쪽으로 흐르는 물길을 따라가다 보면 보문동이 나오는데, 건축주는 성북천의 환경에 매료되어 이곳에 모녀가 함께 모여 사는 집을 짓기로 했다. 집안에서 아름다운 하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주택 ‘보문유가’는 이렇게 탄생했다. 

    성북천이 내다보이는 대지는 코너에 위치한 면적 95.2㎡의 작은 땅이다. 인근 곳곳에 신축 건물이 들어서고 있지만, 오래된 건축물도 많아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이곳에 새로 지어질 집이 주변 환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외관은 절제된 디자인으로 계획하고, 코너에 위치한 작은 대지라는 점을 고려해 가용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했다. 부정형 대지에 대응하는 동시에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공간을 확보하는 해법으로 대지 형태를 최대한 따르는 배치를 택했다. 이와 더불어 작지만 열린 디자인으로 성북천의 아름다운 풍경을 실내로 들이고자 했다. 

    건축 공간구성은 지상 1층부터 4층까지 연면적 60평정도이며 1층은 근생생활시설, 2층부터 4층까지는 주거공간으로 공간구성하였다. 현관은 산책로로부터 진입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작은 도로 쪽으로 배치하였고, 위치가 남쪽이기 때문에 낮에는 따뜻한 빛이 현관 안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내부로 진입하면 2층과 3층은 최대 면적 확보 때문에 같은 내부 형태로 만들어졌지만 가구의 배치를 달리해 차별감을 주고자 하였다. 4층은 정북사선제한의 조건에 따라 반은 내부공간 그외 공간은 옥상공간으로 외부로 향해 열려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옥상에 정원을 계획하여 자연과 교감하며 마음 트일 수 있는 작은 옥외공간을 확보하였다. 

    우리는 주거부분에 있어서는 채광이나 조망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 다가구의 특성에 따라 수평적 공간보다 수직적 공간에 치우치기 마련인데, 우리는 각 층을 외부로 향하도록 수평적인 방식으로 내부 공간을 구성하였다. 보편적으로 도심에 위치한 다가구 주택에서는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큰 창을 내지 않지만 우리는 큰 창의 이점을 따라 외부로 큰 창을 두었다. 특히 2~3층은 성북천이 보이는 곳을 중심으로 전경을 바라볼 수 있는 큰 창을 두었고 이는 사계절의 풍경을 느낄 수 있는 곳에 위치한 건축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풍경을 안으로 끌어들이고 연속적 장면을 이곳에서 누릴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주변 건축물과의 관계는 대부분 90년대초에 지어진 붉은 벽돌 빌라들이 즐비해 적막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우리는 이곳에 밝은 풍경을 바라는 마음에 밝은 회색의 화강석 외장재로 결정하였다. 주요 외부 마감재로 쓰인 화강석은 함수율이 낮은 석종을 선택하여 잔다듬 처리하여 재료의 거친 느낌과 고은 느낌이 시각적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이고자 하였다. 화강석이 가진 재료의 특성을 잘살려, 빛에 의해 돌 자체의 질감을 드러나게 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규격화한 판재 형태를 1층부터 4층까지 건물 전체에 시공하여, 통일되고 규칙적인 방식으로 좀 더 리듬감 있는 건축물로 보여지고자 하였다.

     

    보문동 성북천 주변은 낡고 오래되어 다소 어둡고 적막했던 산책로 풍경은 회색빛 화강석의 건물이 들어서며 밝은 이미지의 풍경을 만들어내길 바래본다. 또한 성북천을 찾는 많은 주민들의 일상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길 바란다. 


    프로젝트 팀: 이재, 신명호, 박진우, 박서정, 배채원

    위치: 서울

    용도: 다가구 주택

    대지면적95.20

    건축면적56.99

    연면적162.30

    과정: 2021년 준공

    사진: 양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