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Jae Architects

Lee Jae Architects

Brick residence

    This house is a 45-pyeong detached house built in Ilsan, Gyeonggi-do.  It was planned on the site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detached house complex, where construction has just begun.

    For the first brick house to be built in the housing complex, the design was given priority to suggest the architectural direction and connectivity of the complex. In additi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design that showed the owner's lifestyle and the na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were the main goals of this design.

    Brick House is a structure in which pure and ideal box-shaped masses are connected.

    The view has been adjusted and the circulation has been reorganiz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ree volumes considering the proper arrangement of the interior space and the location on the site. The interpretation of the solid/void relationship of the Ilsan brick house can be described as an addition or subtraction process. On the one hand, it can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small volumes connected (added), and on the other hand, two L-shaped volumes can be seen as removed (subtracted) from a larger volume in the form of a complete box. This created a rhyth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ior space and the garden.

    Front windows, such as those installed next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lation, provide an impressive scene to the exterior landscape through positional ambiguity.


    Design Team: Lee Jae, Jinwoo Park, Yoomin Kim

    Completion Year: 2019

    Built Area (m2 or sqft): 119.04㎡

    Photographer: Woosang Yang




    이제 건축이 시작된 단독주택 단지의 초입부분에 위치한 대지에 계획되었습니다

    주택단지에 번째로 지어질 예정인 벽돌주택은 단지의 건축방향 연계성을 제시하기 위한 디자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또한 건축주의 라이프스타일을 방영한 설계의 공간 구성 내외부의 자연스러운 관계가 설계의 주된 목표였습니다.

    일산 벽돌주택은 순수하고 이상적인 박스형의 매스들이 연결된 구조입니다
    내부 공간의 적절한 배치와 부지 상의 위치를 고려한 세볼륨의 배열을 통해 뷰가 조절되고 동선이 재편성되었습니다
    일산 벽돌 주택의 솔리드/보이드 관계의 해석은 더하거나 빼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일련의 작은 볼륨들이 연결(더하기)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완전한 박스 형태의 큰 볼륨에서 두 개의 L-자형 볼륨이 제거(빼기)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로써 내부 공간과 정원 사이의 리드미컬한 상호관계가 만들어졌습니다
    동선을 따라 옆에 설치된 것과 같은 전면 창은 위치상의 모호성을 통해 외부 풍경에 인상적인 장면을 제공합니다
    실내 바닥 높이를 지면과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만듦으로써, 투명한 유리를 적용한 것과 함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대지를 집안 깊숙이까지 끌어들여놓은 느낌입니다.  벽돌주택은 크게 4가지로 얘기할 있겠습니다.

    첫째는 대지와 함께 호흡하고 풍경과 교감하는 거주 공간 구현, 내부와 외부는 자연스러운 연결을 바탕으로 쓰이게 될 것입니다.
    두 번째는3개의 매스로 이루어진 모뉴멘탈적 형태, 3개의 기하학적 매스의 반복적 결합으로 형태를 완성하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공간시퀀스는 형태를 따라가 가게 됩니다. 또한, 외부에서 보여지는 매스는 이상적인 형태의 완성을 보여줍니다.

    네 번째는 리드미컬한 동선- 동선의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이동 중 보여지는 개방성(창의 위치 고려)입니다. 마지막으로 자연적 .난방의 효율적 기능을 위해 의도적으로 부지의 남향과 남동향으로 향을 고려하였다. 이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보다 풍부한 일조량을 내부로 들여오거나 내보냄으로써 거주자의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Brick residence

    21.04.27 13:25

    This house is a 45-pyeong detached house built in Ilsan, Gyeonggi-do.  It was planned on the site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detached house complex, where construction has just begun.

    For the first brick house to be built in the housing complex, the design was given priority to suggest the architectural direction and connectivity of the complex. In additi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design that showed the owner's lifestyle and the na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were the main goals of this design.

    Brick House is a structure in which pure and ideal box-shaped masses are connected.

    The view has been adjusted and the circulation has been reorganiz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ree volumes considering the proper arrangement of the interior space and the location on the site. The interpretation of the solid/void relationship of the Ilsan brick house can be described as an addition or subtraction process. On the one hand, it can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small volumes connected (added), and on the other hand, two L-shaped volumes can be seen as removed (subtracted) from a larger volume in the form of a complete box. This created a rhyth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ior space and the garden.

    Front windows, such as those installed next to each other along the circulation, provide an impressive scene to the exterior landscape through positional ambiguity.


    Design Team: Lee Jae, Jinwoo Park, Yoomin Kim

    Completion Year: 2019

    Built Area (m2 or sqft): 119.04㎡

    Photographer: Woosang Yang




    이제 건축이 시작된 단독주택 단지의 초입부분에 위치한 대지에 계획되었습니다

    주택단지에 번째로 지어질 예정인 벽돌주택은 단지의 건축방향 연계성을 제시하기 위한 디자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또한 건축주의 라이프스타일을 방영한 설계의 공간 구성 내외부의 자연스러운 관계가 설계의 주된 목표였습니다.

    일산 벽돌주택은 순수하고 이상적인 박스형의 매스들이 연결된 구조입니다
    내부 공간의 적절한 배치와 부지 상의 위치를 고려한 세볼륨의 배열을 통해 뷰가 조절되고 동선이 재편성되었습니다
    일산 벽돌 주택의 솔리드/보이드 관계의 해석은 더하거나 빼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일련의 작은 볼륨들이 연결(더하기)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완전한 박스 형태의 큰 볼륨에서 두 개의 L-자형 볼륨이 제거(빼기)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로써 내부 공간과 정원 사이의 리드미컬한 상호관계가 만들어졌습니다
    동선을 따라 옆에 설치된 것과 같은 전면 창은 위치상의 모호성을 통해 외부 풍경에 인상적인 장면을 제공합니다
    실내 바닥 높이를 지면과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만듦으로써, 투명한 유리를 적용한 것과 함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대지를 집안 깊숙이까지 끌어들여놓은 느낌입니다.  벽돌주택은 크게 4가지로 얘기할 있겠습니다.

    첫째는 대지와 함께 호흡하고 풍경과 교감하는 거주 공간 구현, 내부와 외부는 자연스러운 연결을 바탕으로 쓰이게 될 것입니다.
    두 번째는3개의 매스로 이루어진 모뉴멘탈적 형태, 3개의 기하학적 매스의 반복적 결합으로 형태를 완성하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공간시퀀스는 형태를 따라가 가게 됩니다. 또한, 외부에서 보여지는 매스는 이상적인 형태의 완성을 보여줍니다.

    네 번째는 리드미컬한 동선- 동선의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이동 중 보여지는 개방성(창의 위치 고려)입니다. 마지막으로 자연적 .난방의 효율적 기능을 위해 의도적으로 부지의 남향과 남동향으로 향을 고려하였다. 이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보다 풍부한 일조량을 내부로 들여오거나 내보냄으로써 거주자의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