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wall of names memorial
- 21.04.27 14:30
The wall of names memorial
Washington, D.C. USA
2018
This project proposes a temporary commemorative pavilion to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Vietnam Veterans Memorial, serving as an architectural intervention that expands the memory and meaning of the existing monument. The original memorial, resembling a "scar etched into the ground," is composed of black granite walls engraved with the names of over 58,000 fallen and missing soldiers, forming a poignant intersection between collective remembrance and personal loss. Visitors descend into the memorial, encountering an overwhelming cascade of names that evoke the weight of grief and remembrance experienced by those left behind.
This project reinterprets the commemorative experience by shifting from a horizontal composition to a vertical structure,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ceased. The pavilion’s upward-reaching form materializes the layers of memory, making visible the gradual fading of remembrance over time. Rising toward the sky, the structure transcends mere commemoratio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a renewed perspective beyond loss. As visitors move through the space, they navigate between personal reflection and collective memory, creating a sensorial and philosophical environment where past suffering and present contemplation intersect. In doing so, this project proposes that acts of remembrance are not static but continuously evolving and expanding through architectural expression.
이 프로젝트는 베트남 전쟁 기념관 앞에 임시 설치될 기념 공간을 제안하는 것으로, 기존 기념관의 기억과 의미를 확장하는 건축적 개입이다. 기존 베트남 전쟁 기념관은 "지면에 새겨진 상처"와 같은 형태를 띠며, 검은색 돌벽에 새겨진 58,000명 이상의 전사자와 실종자의 이름을 통해 집단적 기억과 개인적 상실의 교차점을 형성한다. 관람자는 지면 아래로 걸어 들어가면서 숱한 이름들이 반복되는 벽과 조우하게 되고, 이는 역사적 비극 속에서 남겨진 자들이 마주하는 슬픔과 기억의 무게를 환기시킨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기념적 경험을 수평적 구성에서 수직적 구조로 전환함으로써, 살아있는 이들과 죽은 이들 간의 관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 수직적으로 상승하는 파빌리온은 기억의 층위를 물리적으로 드러내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색되는 기억의 속성을 공간적으로 형상화한다. 또한, 위로 솟아오른 구조는 단순한 기념의 장을 넘어, 상실을 넘어선 새로운 시선과 치유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방문자는 공간 속을 오르내리며 개인의 경험과 집단적 기억을 교차적으로 체험하게 되며, 이는 과거의 아픔과 현재의 성찰이 중첩되는 감각적·철학적 공간을 창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프로젝트는 추모의 방식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확장될 수 있는 개념임을 건축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