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y House ㅣ 그레이 하우스
- 21.04.27 13:06
This residence is designed on a site located along a major commercial boulevard, where the surrounding area is distinctly divided into a residential district and a commercial district centered around a traditional market. A closer examination of the site reveals that the house is positioned at the entrance of a narrow market alley, where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zones intersect. The surrounding urban landscape is characterized by a row of old red brick buildings, reflecting an unfiltered and somewhat unorganized residential environment. Additionally, to the north of the site, there is a secondary road accessible to vehicles, frequently used by market visitors as a primary route into the market.
The primary design objective of this project was not merely to blend with the surroundings but to create a private living space that shields the client from the noise and visibility caused by the high foot traffic of market visitors. To achieve this, the northern façade, which directly faces the road, was designed with minimal openings, reinforcing a solid and simple exterior that provides visual seclusion. Furthermore, as the site is situated in Paju, an area prone to frequent flooding due to heavy annual rainfall,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 was elevated by 1.2 meters to safeguard against potential water damage. The resulting entrance staircase functions not only as a means of vertical circulation but also as a crucial architectural element that fosters interaction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interior occupants.
상업지역의 대로변에 위치한 부지에 계획되었으며, 주변 지역은 주거지역과 전통 시장이 중심을 이루는 상업지역으로 크게 나뉜다. 사이트를 자세히 살펴보면, 주택은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맞닿는 좁은 시장 골목의 초입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오래된 붉은 벽돌 건축물이 일렬로 늘어서 있다. 이는 도시와 건축이 다소 정돈되지 않은 채 혼재하는 주거 환경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대지의 정북 방향에는 차량 통행이 가능한 이면도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많은 시장 이용객이 이 도로를 따라 시장으로 진입한다.
본 프로젝트의 주요 설계 목표는 단순히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시장 이용객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시선으로부터 건축주의 사생활을 보호하는 프라이빗한 주거 공간을 구축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도로와 맞닿는 북측 입면에는 창을 최소화하고, 단순한 외벽을 계획하여 외부로부터의 시각적 차단을 유도하였다. 또한, 본 대지는 파주시 내에서도 매년 강수량이 많은 침수 지역에 해당하므로, 건물의 저층부를 지면에서 1.2m 상승시켜 최대 강수위로부터 안전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로 인해 형성된 입구 계단은 단순한 접근 수단을 넘어, 외부 공간과 내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중요한 건축적 요소로 작용한다.